본문 바로가기
계산기

2025년 퇴직금 일시불 vs 연금 수령 비교 계산기: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할까?

by ableT 2025. 3. 24.
반응형
목차

    퇴직소득세계산기일시금연금

     

    퇴직금을 받을 때 많은 직장인들이 고민하는 것이 바로 '일시불로 받을까, 연금으로 받을까?'입니다. 두 방식은 각각 장단점이 있어서 자신의 상황에 맞는 선택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퇴직금 수령 방식에 따른 세금 차이와 각 방식의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퇴직금 수령 방식별 세금 차이


    퇴직금 수령 방식에 따라 내야 하는 세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시불과 연금 수령 시 세금 차이를 실제 예시로 살펴보겠습니다.

     

    1. 일시불 수령 시 세금 계산 결과

     

    앞서 살펴본 글에서 계산했듯이, 퇴직금 2억 원, 근속연수 20년인 경우 일시불로 수령하면 약 772.75만 원의 퇴직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이는 퇴직금의 약 3.86%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2025년 퇴직소득세 계산법 완벽 가이드: 일시불 수령 시 정확한 계산 과정 알아보기

     

    2. 연금 수령 시 세금 계산 과정


    연금으로 수령하면 퇴직소득세 부담이 줄어듭니다. 연금 수령 기간에 따라 세금 감면율이 달라지는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0년 이내 연금 수령: 퇴직소득세의 70% 적용

    10년 초과 연금 수령: 퇴직소득세의 60% 적용

     

    3. 10년 연금 수령 시 계산 예시

     

    퇴직금 2억 원, 근속연수 20년인 경우

    1️⃣ 퇴직소득 산출세액: 702.5만 원
    2️⃣ 감면율 적용: 702.5만 원 × 70% = 491.75만 원
    3️⃣ 지방소득세: 491.75만 원 × 10% = 49.18만 원
    4️⃣ 총 납부 세금: 491.75만 원 + 49.18만 원 = 540.93만 원

     

    반응형

    4. 20년 연금 수령 시 계산 예시

     

    같은 조건에서 20년 동안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

    1️⃣ 퇴직소득 산출세액: 702.5만 원
    2️⃣ 첫 10년 감면율 적용: (702.5만 원 ÷ 2) × 70% = 245.88만 원
    3️⃣ 다음 10년 감면율 적용: (702.5만 원 ÷ 2) × 60% = 210.75만 원
    4️⃣ 합계: 245.88만 원 + 210.75만 원 = 456.63만 원
    5️⃣ 지방소득세: 456.63만 원 × 10% = 45.66만 원
    6️⃣ 총 납부 세금: 456.63만 원 + 45.66만 원 = 502.29만 원

     

    5. 세 가지 방식 비교

    퇴직금일시불연금세금비교

     

    위 표를 보면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 일시불 대비 최대 35%까지 세금을 아낄 수 있습니다.

     

    6. 수령 방식별 장단점

    퇴지금일시불연금수령방식별장단점

     

    2025년 퇴직금 수령 방식 비교 계산기

     

    아래 계산기를 사용하면 일시불과 연금 수령 시 세금 차이를 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근속연수와 퇴직금 금액만 입력하면 각 방식별 세금과 실수령액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퇴직소득세 계산기

    일시수령 시

    세금: 0

    실수령액: 0

    연금수령 시 (10년)

    세금: 0

    실수령액: 0

    연금수령 시 (20년)

    세금: 0

    실수령액: 0

    일시수령 대비 절세액 (10년 연금): 0

    일시수령 대비 절세액 (20년 연금): 0

    마치며


    퇴직금 수령 방식은 개인의 재정 상황과 미래 계획에 따라 달라져야 합니다. 일시불은 자유로운 자금 운용이 가능하지만 세금 부담이 크고, 연금은 안정적 노후와 세금 절감에 유리합니다. 자신의 상황을 고려해 최적의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