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수능 원점수 계산 방법: 쉽게 이해하는 가이드 🧑‍🏫

by ableT 2024. 11. 19.
반응형
목차

     

    신문이나 인터넷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능 점수별 대학 진학표를 보면, 각 대학의 예상 합격선이 나와 있습니다. 

    이 표를 보면 많은 사람들이 "이 점수는 어떻게 구성되는 걸까?"라는 궁금증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수능 원점수가 무엇인지와 어떻게 계산되는지를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수능 과목 구성 📝

     

    수능은 다섯 가지 과목으로 구성됩니다:
    🔸 국어
    🔹 영어
    🔸 수학
    🔸 사회탐구/과학탐구
    🔹 한국사

    이 중에서 영어 한국사절대평가로 이루어지며

    나머지 과목들은 상대평가로 진행됩니다.

    원점수상대평가 과목에서 실제로 받은 점수를 의미합니다.

    반응형

    절대평가 과목: 영어와 한국사 📚

     

    🗣️ 영어
    🔹 절대평가로 진행되며, 원점수가 아닌 등급만 부여됩니다.
    🔹 예를 들어, 90점 이상이면 영어는 1등급입니다.

    2024학년도 수능 영어 영역의 등급별 점수
    2024학년도 수능 영어 영역의 등급별 점수

    ⛩️ 한국사
    🔹 마찬가지로 절대평가로 진행되며, 원점수가 아닌 등급만 부여됩니다.
    🔹 한국사에서 일정 점수를 넘기면 필수 요건을 충족하게 됩니다.

    2024학년도 수능 한국사 영역의 등급별 점수
    2024학년도 수능 한국사 영역의 등급별 점수

     

    상대평가 과목: 국어, 수학, 사회탐구/과학탐구 🧮

     

    📚 국어
    🔸 총 100점 만점으로 구성되며, 공통과목(독서와 문학)과 선택과목(화법과 작문 또는 언어와 매체)으로 나뉩니다.

    📊 수학
    🔸 역시 총 100점 만점이며, 공통과목(수학Ⅰ, 수학Ⅱ)과 선택과목(확률과 통계, 미적분 또는 기하)으로 구성됩니다.

    🌏 사회탐구/과학탐구
    🔸 각 과목당 총 50점 만점이며 최대 두 과목까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원점수란? 🎯


    원점수는 각 시험에서 실제로 받은 점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국어에서 만점을 받으면 원점수는 100점입니다. 수능에서 최종 원점수를 계산할 때는 국어, 수학, 사회탐구/과학탐구 세 과목의 점수를 더한 것이 원점수가 됩니다. 영어와 한국사는 절대평가로 등급만 부여되므로 원점수 합산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원점수 계산 방법 🧑‍💻

     

    원점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아래의 단계를 따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국어, 수학, 그리고 선택한 탐구 과목(사회탐구 또는 과학탐구)의 점수를 각각 구합니다.
    🔸 각 과목의 점수를 더해 최종 원점수를 산출합니다.
    🔹 영어와 한국사는 절대평가로 등급만 부여되므로 원점수 계산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예시 
    한 학생이 다음과 같은 점수를 받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국어98점
    🔸 수학: 95점
    🔸 사회탐구(세계사): 48점
    🔸 사회탐구(윤리와 사상): 47점

    이 학생의 최종 원점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98 + 95 + 48 + 47 = 288
    따라서 이 학생의 최종 원점수는 288점입니다.

    수능시험원점수구성

     

    결론 🎓


    원점수는 수능 성적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국어, 수학, 탐구 과목에서 받은 점수를 합산해 최종 원점수를 구할 수 있으며, 영어와 한국사는 절대평가로 등급만 부여되기 때문에 원점수 계산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 글을 통해 수능 원점수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