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험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법, 쉽게 이해하기!

by ableT 2025. 3. 7.
반응형
목차

     

    지역가입자건겅보험료계산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얼마나 내야 할까?


    퇴직 후 지역가입자로 전환된 A 씨는 보험료가 급격히 올라 당황했습니다. 직장가입자일 때는 월 15만 원이었지만, 지역가입자가 되면서 월 40만 원으로 올랐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계산될까요?

     

    1.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소득과 재산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2024년부터는 자동차에 대한 보험료 부과가 제외되어, 보험료 부담이 다소 완화되었습니다. 

    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금융소득(이자·배당), 연금소득 등을 모두 포함하여 계산됩니다. 연간 금융소득이 1,000만 원 미만이라면 건강보험료 산정에서 제외됩니다. 

    재산: 주택, 토지, 건물, 전월세 보증금 등이 포함됩니다. 2024년부터는 재산에 대한 기본공제액이 1억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2. 건강보험료 계산 예시


    예시) A씨의 건강보험료 계산

    소득: 연 3,000만 원 (월 250만 원)

    재산: 시가 5억 원 아파트

    📌 각 항목별 점수 산정

     

    ① 소득월액 보험료
    월소득 250만 원 / 2 = 125만 원 (50% 반영합니다.)

     125만 원 X 건강보험료율(7.09%) = 88,625원

    ② 재산 보험료

    5억 - 1억 = 4억 (기본공제 1억)

    4억에 대한 재산등급별 점수 : 757점

    재산 점수(757점) × 점수당 금액(208.4원) = 157,758원

    재산등급별점수
    건강보험료 산정 재산등급별 점수


    ③ 건강보험료 합산
    소득월액 보험료 + 재산 보험료 = 246,380원

    ④ 장기요양보험료 추가
    건강보험료 합계 × ( 장기요양보험률(0.9182%) / 건강보험료율 (7.09) ) = 31,900원

    ⑤ 지역가입자 총 보험료
    건강보험료 + 장기요양보험료 = 278,280원

    📌 A 씨는 건강보험료로 매달 약 27만 8천 원을 부담해야 합니다.

     

    3. 건강보험료 모의계산기 활용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개인의 소득 및 재산 정보를 입력하여 예상 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는 모의계산기를 제공합니다. 이를 활용하면 정확한 보험료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모의계산기 사용 방법

    1.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민원서비스' -  '모의계산' 메뉴를 선택합니다.

    국민건강보험 모의계산하기


    3. 소득 및 재산 정보를 입력합니다.


    4. 계산된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를 확인합니다.

    국민건강보험 모의계산결과

     

     

    4. 자주 묻는 질문 (Q&A)


    Q. 소득이 없으면 건강보험료를 안 내도 되나요?
    A. 아닙니다. 소득이 없어도 재산(부동산) 기준으로 보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Q. 보험료가 너무 높게 나오면 조정할 방법이 있나요?
    A. 네! 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하여 조정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피부양자 등록, 재산 조정 등의 방법을 활용하세요.

     

    5. 감면제도 적극 활용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소득·재산·자동차를 기준으로 계산되며, 예상보다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감면제도를 적극 활용하면 보험료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다음 글에서는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를 절약할 수 있는 추가적인 팁을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